2017년 강세를 보였던 신흥국 통화가 2018년에는 약세로 반전됐다.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미 국채 10년물 3% 상향 돌파, 미국 달러화 강세 전환, 글로벌 경기 둔화 시그널이 신흥국 통화 약세 반전을 이끌고 있다.

그러나 위기 확산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금물이다. 연준 금리인상 속도가 여전히 점진적일 것이고, 달러화의 급격한 강세도 억제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기도 아직까지는 완만한 둔화 조짐이 표출되는 정도이다. 하지만, 위험 요인이 하나 둘씩 불거지고 있다는 점에서 위기 관리가 필요한 시기이며,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이 요구된다.

통화약세는 신흥국 내에서도 차별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아르헨티나 페소화와 터키 리라화는 경제 펀더멘털 취약성이 원인이다. 두 나라 모두 쌍둥이(경상 & 재정수지) 적자와 인플레이션이 문제이다. 경제구조 측면의 문제라는 점에서 위기 해소가 쉽지 않다. 원자재 통화로 분류되는 브라질과 러시아의 경우 개별적인 위험이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브라질 헤알화는 재정적자에 따른 부채 위험과 대내적인 정치 불확실성, 러시아 루블화는 대외적인 정치 불확실성이 부담이다. 반면, 신흥국 내에서도 차별적인 통화 움직임을 보이는 지역도 있는데, 중국과 한국이 대표적이다. 글로벌 무역거래의 급격한 둔화 위험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위안화와 원화는 다른 신흥국 통화대비 견고성을 유지할 전망이다.

10개 신흥국을 대상으로 취약도를 측정한 결과 고위험 국가는 아르헨티나, 터키, 남아공이다. 이 국가들은 경상적자, 고물가, 취약한 외환여건 등으로 말미암아 앞으로도 통화약세, 자산가격 변동 위험이 빈번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투자 부적격으로 판단한다. 중위험 국가는 브라질, 인도네시아, 멕시코이며,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저위험 국가는 중국과 한국으로 분류된다.

5월 현재 올해 글로벌 주식시장 수익률은 지난해 대비 뚜렷이 약화됐다. 3중고(금리 상승, 달러화 강세, 글로벌 경기 둔화)로 대표되는 부담 요인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주식시장 수익률 회복은 좀더 시간이 걸릴 것이며, 상대적으로 신흥국 시장에 부담을 가중시킬 전망이다.

※이 콘텐츠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