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은 만들 수도 이를 대체할 물질이 없어 생명을 이어주는 유일한 대안이 바로 헌혈이다. 헌혈은 나눔의 봉사이자 생명의 기부이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울산지역의 헌혈자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한다. 헌혈자 대부분을 차지하는 10~20대 인구가 줄었기 때문인데, 인구고령화로 혈액수요는 늘고 있어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울산혈액원에 따르면 지난 2015년 9만3,740명이던 지역 헌혈자는 2016년 8만7,323명, 2017년 8만6,261명으로 줄어들었다. 헌혈자의 70% 이상을 차지하던 10~20대 헌혈자 비율이 2015년 73.4%였던 것이 2017년 68.8%로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하고 있다. 올해 4월말 기준으로 10~20대 참여자는 63.6%를 기록했다. 보건복지부 등은 저출산, 고령화 여파와 함께 인구가 줄어듦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고 또 조선업불황 등 경기악화 등으로 울산의 인구유출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10~20대에 헌혈의존도가 높다보니, 당장 여름방학이 시작되는 7~8월부터 헌혈수급이 어려울 전망이다. 10~20대인 학생 헌혈자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계층의 헌혈활동이 절실한 실정인데, 여전히 참여율이 저조한 분위기다. 특히, 지난해 울산의 직업별 헌혈현황을 보면 고교생 30.6%, 회사원 27.2%, 대학생 22.5%, 군인 5.9%, 가사 2.0%, 공무원 1.8%, 자영업 1.5%, 종교직 0.1% 순을 보였다. 특히 지난 2016년 울산지역 공무원의 헌혈비중은 전국 시·도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인들 중에서도 헌혈을 하고 싶어도 헌혈센터의 위치를 모르는 경우도 많다. 울산의 헌혈의 센터는 공업탑, 삼산동, 성남동, 울산대, 울산과학대 등 5곳에 이르고 있다. 물론 이 숫자는 대전이나 광주시와는 같고 인천보다는 많은 숫자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볼 때 매우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헌혈센터의 확충도 필요하며 또한 헌혈에 따른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정부가 지난해 약 30% 수준인 중장년층 헌혈자 비율을 2022년까지 42%로 늘리기 위해 혈액검사 및 철분제 제공의 건강관리 서비스 등을 계획하고 있다니 그나마 다행이지만 홍보만으로는 헌혈 증진이 쉽지 않다. 학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직장인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예산투입만이 정답은 아니다. 헌혈기부에 따른 인사가점 인센티브 제공 등 기업의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도 함께 선행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