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는 23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진방재정책 관련 산·학·관·연 전문가, 시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지진방재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2019 지진방재포럼'을 열었다. 우성만 기자  
 

울산 일원은 지진에 의한 재난 위험성이 높아 5년 단위 정부 종합계획만으로는 지진 위험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울산 지역 특성에 적합한 지진방재종합계획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울산시는 23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진 재난 극복을 위한 방안’을 주제로 ‘2019 지진방재포럼’을 개최했다. 여기에는 지진방재정책 관련 산·학·관·연 관계자와 시민 등 150명이 참석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정지범 교수는 이 자리에서 ‘울산광역시 지진방재기본계획’이라는 주제를 통해 “울산 일원은 경주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을 포함해 동래단층, 일광단층, 울산단층, 연인구조선 등 활성단층이 분포하고 있어 지진에 의한 재난 위험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석유화학 산업단지와 원자력발전소 등 주변에 위험시설이 입지해 특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며 “국가차원의 지진 방재정책으로는 지역 여건에 부합한 재난 대응에 한계가 있어 지역 특성에 적합한 방재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시민 설문조사 결과 7가지 지진대비 체크리스크 준수율이 울산은 44%로 전국 평균 29%를 크게 웃돌고 지진대비 정보를 직접 알아보거나(65%, 전국 36%), 지진 대피장소를 알아 두었다(54%, 전국 31%) 등 시민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재난 1위가 지진이라고 소개했다.

정 교수는 이어 “지난해 6월 기준 울산지역 건물수 기준 13% 정도만이 내진 설계를 확보한 상태”라며 “건축물 동수 기준으로 내진설계 미확보 건축물은 북구와 울주군의 비율이 높다”고 언급했다.

또 “액상화 위험도 조사에서도 사질토 등 일부 지역에서 액상화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정 교수는 또 6대분야 전략, 68개 추진과제가 포함된 울산시 지진방재기본계획을 제시했다.

정 교수는 “57개 초중고 327동의 건축물중 56.2%가 내진성능이 미확보 상태로 내진성능 인증제, 지진안전성 표시제 운영을 통한 내진을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이정한 시설연구관은 ‘국가 지진방재 정책 방향’ 발표를 통해 경주·포항 지진 이후 정부의 지진 대책과 제2차 지진방재종합계획에 관해 설명했다.

이 연구관은 신속하고 체계적인 지진 대응체계 확립을 위해 오는 10월 국민참여 지진 대피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2021년까지 동남권 지역을 우선 적으로 활성단층 지도제작 등 체계적 조사, 연구를 펼칠 예정이다고 밝혔다.

울산대 김익현 교수는 ‘산업단지의 지진 안전 대책’을 주제로 석유화학단지의 지진 취약성과 잠정적인 지진 위험 요소 등을 설명하고, 피해 시나리오 기반의 지진 대응 시스템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설비의 노후화로 인한 구조적 취약성, 지진으로 인한 대규모 폭발시 시가지 피해 가능성이 있는 만큼 콘크리트보다 연성이 큰 강재 굴뚝을 고려하는 등의 보강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열린 패널 토론에서는 정지범 교수를 좌장으로 울산시의회 김미형 행정자치위원, 울산발전연구원 윤영배 부연구위원, 울산안전생활실천 시민연합 이애경 부대표 등이 참여했다.

울산시는 지난 3월 지진방재기본계획을 세우고 현재 세부 시행 계획을 수립중으로 이번 공개토론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반영해 울산시 지진 방재종합계획을 상반기에 확정하고 하반기부터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