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만명은 3년 넘게 취업시험 준비 중…절반은 '공시생'

신입사원 채용(CG)[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3년 넘게 취업하지 못한 상태로 집에서 시간을 보낸 '니트족(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무직자)' 청년이 올해 1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연합뉴스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으로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상태인 청년은 27만8천명이었다.

이들 가운데 미취업 기간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낸 청년은 9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미취업 기간에 구직활동, 직업교육, 학원이나 도서관 등에 다니며 취업 시험 준비, 육아·가사활동 등을 전혀 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1년 전(7만1천명)과 비교해 2만5천명(35.8%) 늘어난 수치다.

성별로 보면 남자가 6만2천명으로 1년 전(4만7천명)보다 1만5천명 늘었다.

여자는 1년 전(2만4천명)보다 1만1천명 증가한 3만5천명(반올림 과정에서 수치 변동)으로 집계됐다.

장기 니트족 가운데 남자가 여자의 1.8배에 달한 셈이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25~29세)이 6만1천명으로 63.5%를 차지했다.

이외 20대 전반(20~24세)이 3만1천명(32.5%), 10대 후반(15~19세)이 4천명(4.0%) 등이었다.

교육 정도로 보면 고졸자가 7만5천명(77.5%)으로 가장 많았다.

전문대 이상 졸업자는 1만1천명(11.7%)이었는데, 이 가운데 초대졸자가 5천명, 대졸자가 4천명, 대학원 졸업자가 2천명이었다.

이처럼 한창 일할 나이의 청년층이 취업하지 않으면 이들의 노동 가치만큼 경제에 기회비용이 발생하고, 나아가 노동 투입량 감소에 따른 잠재성장률 하락을 초래하게 된다.

앞서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 2017년 기준 청년(15~29세) 니트족의 취업 기회 손실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연간 49조4천억원에 달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다만 통계청은 표본 수가 한정된 표본조사의 특성을 고려할 때 추가로 각종 조건을 통제한 마이크로데이터 분석 결과를 일반적인 현상으로 해석하기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중 8만5천명은 학원이나 도서관 등에 다니며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이들 중 경찰·소방·군무원을 포함한 일반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 사람은 4만3천명이었다.

장기 취업준비자 가운데 절반가량은 '공시생'인 셈이다.

2만명가량은 일반 기업체나 공사·공단 등 공공기업 취업 준비를 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외 변리사·공인회계사 등 전문 분야 자격증 준비생이 7천명, 미용사·조리사 등 기능 분야 자격증 준비생이 4천명, 교원 임용고시(사립교사 포함) 준비생이 3천명 등이었다.

나머지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가운데는 기타 직업교육(훈련)을 받거나 구직활동을 한 사람도 1만8천명 있었다.

육아·가사를 한 사람은 5만4천명, 여행·독서 등 여가를 보낸 사람은 7천명이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