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수소차 등 미래차로 전환하는 격변기를 맞았지만 미래차용 부품을 생산·개발하고 있는 납품 업체는 39.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설비투자 지원이나 협력완성차 업체에 대한 세제 지원 등 정부의 정책적 노력을 통해 이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자동차 부품산업 미래차 전환 실태 조사결과 및 정책건의’를 주제로 제10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차산업연합회는 이날 국내 186개 부품업체를 대상으로 미래차 전환 대응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업체 현장방문, 전문가 자문 등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래차용 부품을 생산·개발하고 있는 기업은 39.6%로 집계됐다. 특히 연매출 500억 이하 기업 중 미래차로 산업 전환을 착수한 기업은 16.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차 부품을 개발을 위한 R&D 투자규모는 연평균 33.5% 성장했지만, 미래차 부품 양산기업 중 17.8% 만이 수익을 내고 있어 지속적인 투자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부품업체들은 기술개발 투자 어려움을 겪는 가장 큰 이유로 투자자금 부족(35.6%)을 꼽았다. 전문 인력부족은 20.7%, 원천기술 부족은 19.5%로 나타났다.

자금과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부품업체 56.8%는 미래차 부품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을 내부 보유자금으로 충당했다. 정부사업자금(14.8%), 금융권 차입금(12.3%) 등은 10%대에 그쳤다.

미래차 기술을 확보한 경우에도 정부 연구과제 수행은 8.1%에 그친 반면 자체 기술개발은 절반에 가까운 46.5%, 완성차업체와 공동개발이 39.5%로 그 뒤를 이었다.

더구나 부품업체 69.4%는 미래차와 관련된 정부지원 사업을 이용한 실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이유로는 △지원요건 복잡(39.2%) △지원규모 및 과도한 자사부담(22.8%) 등으로 지원조건이 현실에 맞지 않다고 호소했다.

이들 업체들은 미래차에 대한 설비투자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설비가 구축된 기업은 5.1%에 불과해 금융지원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미래차 부품 생산용 설비 투자 역시 58.4%가 내부 보유자금으로 충당했다. 뒤이어 은행차입(19.5%), 정부정책자금 활용(9.1%) 등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미래차 양산까지 평균 32.8개월, 최장 84개월이 소요되고, 1개 부품생산 개발비용은 5억2,900만원, 설비비 11억6,100만원 등 13억1,500만원이 소요되나 양산기업 중 17.8% 만이 수익을 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대로는 투자금 회수가 어려워 재투자에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또 ‘가장 시급한 지원’은 자금지원이 49.3%, ‘효과적인 자금지원 방식’은 저리의 정책금융 지원확대(67.1%), 신용대출·보증확대(16.8%), 미래차 전용 투자펀드 조성(10.7%) 등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업계도 부품업체의 설비 투자를 촉진하려면 금융기관들이 신용대출 및 보증을 확대하고 나아가 ‘미래차 투자펀드’를 조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우리 자동차산업은 혁명기에 직면해 뉴 커머(new comer)와도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이라며 “특히 중국 업체의 움직임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이어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부품업체가 미래차에 투자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기존 내연기관차 부품에서 수익을 확보하도록 여건을 마련해줘야 하며, 규제 위주의 친환경 정책은 인센티브 대책과 적극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 울산최초, 최고의 조간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